새벽 5시가 정답? 물안개 터지는 주산지 3포인트 공개 해 뜨기 전, 공기가 가장 차가울 때 물안개 가 올라옵니다. 청송 주산지 는 그 순간이 전부예요. 왕버들 실루엣과 잔잔한 수면, 그리고 산빛이 한 프레임에 겹쳐집니다. 포인트 1 메인 왕버들 라인 청송 주산지/사진=한국관광공사 주차장에서 15분 정도 걸으면 물가와 바로 맞닿은 왕버들 구간이 나옵니다. 여기서는 0.5×~1×로 수면을 크게, 상단 하늘은 1/3만 남기면 안정적입니다. 노출은 -0.3EV로 살짝 눌러 색 뭉개짐을 줄이세요. 반영이 더 또렷해집니다. 청송 주산지/사진=한국관광공사 포인트 2 소나무 프레임 데크 우측 데크를 따라가면 소나무가 자연 액자 역할을 합니다. 인물은 2×로 당기고 배경은 물안개 레이어로 분리하면 깊이가 살아나요. 살짝 사선으로 서서 소나무 기둥을 3분할 그리드에 맞추면 구도가 단단해집니다. 포인트 3 전망데크 파노라마 청송 주산지/사진=한국관광공사 끝자락 전망데크는 전체를 조망하기 좋습니다. 셔터 1/125초↑, f/5.6~8, ISO 100~400이 기본값입니다. CPL 필터가 있다면 난반사를 줄여 단풍 색을 또렷하게 뽑습니다. 타이밍과 동선 청송 주산지/사진=한국관광공사 입산은 하절기 04:00, 동절기 05:00 이후가 기준입니다. 일출 40분 전 도착이 베스트예요. 주차장→왕버들→소나무 프레임→전망데크→회귀까지 60~90분이면 충분합니다. 길은 평탄해서 부모님과 동행해도 무리가 적습니다. 준비물과 매너 청송 주산지/사진=한국관광공사 바람막이, 얇은 장갑, 미끄럼 방지 운동화는 필수입니다. 삼각대가 없으면 데크 난간에 폰을 살짝 걸쳐 2초 타이머로 흔들림을 줄이세요. 쓰레기 되가져가기, 스피커 대신 이어폰이면 더 좋습니다. 당일치기 확장 코스 청송 주산지/사진=한국관광공사 아침엔 주산지, 낮엔 주왕산 협곡 단풍 산책을 더하면 완벽합니다. 가을엔 청송 사과축제 나 직판장에서 사과 디저트로 마무리해도 좋습니다....
아침 공기가 서늘해지는 순간, 걷기 좋은 길이 떠오른다. 너릿재옛길 은 도심 가까운 힐링 스팟이라 주말 반나절 코스로 딱. 입장·주차 무료인데, 풍경은 생각보다 훨씬 호사스럽다. 언제·어디서 시작할까 단풍 절정은 보통 10월 중~말. 오전 9~11시의 부드러운 빛이 사진 맛집. 출발지는 광주 너릿재공원 주차장 또는 화순 공영주차장 두 곳. 초보는 화순 쪽 시작→느티나무 전망대 왕복이 가장 무난하다. 90분 추천 동선 화순 공영주차장 → 데크길 진입 → 구절초 스팟 스쳐보기 → 완만한 경사 따라 느티나무 전망대 에서 휴식 → 같은 길 되돌아오기. 데크가 잘 정비돼 부모님과도 걷기 좋은 걷고싶은 숲길 이다. 포토 스팟 & 촬영 팁 단풍 터널 구간은 인물과 배경 간격을 2m 정도 벌려 보케를 만든다. 전신샷은 카메라를 낮춰 위로 올려 찍기(다리 길어 보임). 의상은 크림·베이지·올리브가 단풍 대비에 강력 추천. 숨은 포인트 정상부 300년 느티나무 아래 그늘 벤치는 바람길이 좋아 머무르기 좋다. 벤치 모서리를 임시 삼각대로 쓰면 흔들림 없이 야경도 가능. 물·간식은 입구에서 미리 챙겨 동선을 가볍게. 역사와 함께 걷기 이 길은 한때 광주·화순을 잇던 옛 국도였다. 지금은 차량 대신 사람을 위한 숲길로 거듭나 사색이 깊어진다. 자연 풍경 속에 기록된 시간의 결이 너릿재만의 분위기를 만든다. 주차·혼잡 피하기 주말 오전은 금세 만차라 점심 직후가 여유롭다. 왕복 60~90분이면 핵심 포인트 대부분을 담을 수 있다. 비 온 뒤 낙엽은 미끄러우니 접지 좋은 운동화는 필수. 예의 있는 숲걸음 스피커 대신 이어폰, 쓰레기는 되가져가기. 난간 잡는 습관을 들이면 부모님 동행도 마음이 놓인다. 잠깐의 배려가 숲의 평온을 오래 지켜준다. 가까워서 더 좋은 너릿재옛길 . 적당한 호흡으로 걸으면 몸은 가벼워지고, 마음은 맑아진다. 도움 됐다면 💗 공감 눌러주고, 당신의 베스트 포토 스팟을 댓글로 공유해줘!